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 사태가 해결됐지만, 10월 소비자 물가 지수, CPI와 비농업 고용 보고서 발표는 이뤄지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[케빈 해싯 /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: 10월 고용 보고서의 급여 측면은 계산이 가능할 것이지만, 가구 조사는 완료되지 않았습니다. 10월의 실업률은 결코 알 수 없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미국 노동통계국이 매달 발표하는 물가와 고용 지표는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기준 금리 결정의 판단 근거로 사용하는 중요한 통계. <br /> <br />특히 CPI는 물가의 동향을, 고용 보고서는 실물 경기 동향을 보여주기 때문에 월가에서도 가장 중요시하는 경제 지표입니다. <br /> <br />백악관은 "민주당이 연방 통계 시스템을 영구적으로 훼손했을지도 모른다"고 주장했지만, 물가와 고용 지표가 그다지 좋지 못했던 상황. <br /> <br />실제로 연간 CPI 상승률은 4월 2.3%에서부터 시작해 9월 3%로 연준의 목표인 2%를 훨씬 넘어 악화 일로를 달리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나올 정부의 경제 지표가 부정적일 전망인 만큼 금리 인하가 불투명해졌다는 관측이 나오자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일제히 급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금리 동결과 인하를 놓고 내분에 휩싸인 가운데 12월 기준 금리 결정을 내려야 하는 연준 입장에선 답답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물가 인상과 경기 둔화가 동반되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을 앞두고 있어서 그 어느 때보다 고심이 깊어진 상황. <br /> <br />금리 인하의 향방을 고용과 물가 중 어느 쪽 상황이 더 심각하냐가 결정하는데 공교롭게도 두 경제 지표 모두 발표가 이뤄지지 못하면서 트럼프 2기의 특징인 정책 불확실성의 안개는 더욱 짙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| 최고은 <br />자막뉴스 | 이미영 안진영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111410222010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